분류 전체보기 1740

추사 김정희의 난- 소심난

위 그림은 에 실린 김정희(金正喜,1786년(정조10) ~ 1856년(철종 7)의 이다. 간송미술관에 있다. ‘김정희 필 난맹첩’은 추사(秋史)의 묵란화(墨蘭畵) 16점과 글씨 7점을 수록한 서화첩으로 2018년에 보물1983호로 지정되었다. 1849년 추사에게 전기(田琦). 김수철(金秀哲) 등과 함께 그림에 대한 평가를 받은 유재소(劉在韶,1829-1911)의 아버지이며 철종의 어진을 장황(裝潢, 표구를 하는 일)하고 추사 자신의 작품도 장황하던 유명훈(劉命勳)에게 선물을 준 것이라 한다. 간송미술관이 소심란(素心蘭)이란 이름으로 소장하는 추사의 작품이다. 위 그림에 적힌 글씨는 山中覓覓復尋尋(산중멱멱부심심) 覓得紅心與素心(멱득홍심여소심) 欲寄一枝嗟遠道(욕기일지차원도) 露寒香冷到如今(노한향냉도여금) 이..

서각과 서예 2023.08.29

반야심경 - 추사 김정희 해서

추사 김정희의 해서체 반야심경 위책을 보고 임서 중입니다. 이 당시의 해서 글씨로는 첩이 있다. 확실하게 기년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필획의 구사로 미루어 50세 시절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다. “글자의 결구(結構)는 그가 가장 따랐던 구양순체의 힘 있고 각진 모습을 하고 있지만, 필획은 대단히 부드럽게 운용하고 있다. 그래서 완당의 글씨로는 단정하고 힘이 있는 가운데 부드러운 분위기가 서려 있다”는 평이다. 결구(結構)는 점획을 구조화하여 하나의 문자를 구성하는 방법을 말한다. 30세 때 초반의 추사는 점획이 둥근 원필(圓筆)이었으나 이때에 이르러서는 구양순 글씨의 특징인 방정(方正)하고 근엄(謹嚴)한 결구와 획이 모난 방필(方筆)로 변해가고 있는 중이다. 방필(方筆)은 한(漢) 예서에 뿌리를 둔 필법..

서각과 서예 2023.08.28

묵소거사자찬 - 김정희

전해지는 추사의 해서가 드물지만, 그 가운데서도 규범이 될 만한 대표작으로 꼽히는 이 있다. 추사의 50대 초반 작으로 추정되고 있다. 황산(黃山) 김유근이 자신의 호인 ‘묵소거사(黙笑居士)’에 대한 글을 짓고 김정희가 해서(楷書)로 쓴 것이다. “중국의 구양순체를 골격으로 하고 안진경의 필법을 가미하여 강함과 여유로움을 겸비했다. 가늘고 긴 모양새의 글씨체로 필획의 변화가 크고 필치는 다소 날카롭지만, 전체적으로 부드러움 속에 힘을 느끼게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이다. 當黙而黙近乎時(당묵이묵근호시) 當笑而笑近乎中(당소이소 근호중) 침묵해야할 때 침묵하는 것이 시의(時宜)에 가깝고, 웃어야 할 때 웃는 것이 중도(中道)에 가깝다. 周旋可否之間(주선가부지간) 屈伸消長之際(굴신소장지제) 옳고 거름을 판..

서각과 서예 2023.08.28

나항곡-成侃(성간) - 초서 서각

나항곡-成侃(성간) 綠竹條條動(녹죽조조동) : 푸른 대나무 가지마다 흔들리고 浮萍個個輕(부평개개경) : 마름풀마다 가볍게 하늘거린다 願郞如綠竹(원랑여녹죽) : 임은 푸른 대나무 같은 마음이기를 바라고 不願似浮萍(불원사부평) : 저 마름풀처럼 되지는 않았으면 좋으리라. 위 글을 초서로 쓰고 50% 축소 복사하여 산벗나무에 붙이고 음각으로 새겼습니다. 부채에 대나무를 그리고 옆에는 화제로 성간 선조의 綠竹條條動(녹죽조조동) : 푸른 대나무 가지마다 흔들리고 浮萍個個輕(부평개개경) : 마름풀마다 가볍게 하늘거린다 願郞如綠竹(원랑여녹죽) : 임은 푸른 대나무 같은 마음이기를 바라고 不願似浮萍(불원사부평) : 저 마름풀처럼 되지는 않았으면 좋으리라. 초서로 쓰고 만들었습니다. 계묘년 하 옥산

서각과 서예 2023.08.28

沖徽(충휘) 유안심사( 遊安心寺) - 초서 서각

遊安心寺(유안심사) 안심사에서 놀다 沖徽(충휘) 夜雨朝來歇(야우조래헐) 밤비가 아침에 개이니 靑霞濕落花(청하습낙화) 푸른 안개 떨어지는 꽃을 적시네. 山僧留歸客(산승류귀객) 스님은 돌아갈 나그네 붙들고 手自煮新茶(수자자신다) 손수 새 차를 달이네. 위 시를 초서로 쓰고 50%축소 복사하여 느티나무에 붙이고 양각으로 새김질 하고 아크릴 물감 칠하고 완성 하였습니다.

서각과 서예 2023.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