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각과 서예

일체유심조

성창기 - 한새미 2020. 4. 9. 12:17

 

 

 

일체유심조를 화선지에 쓰고

 

 

 

 

느티나무를 구하여 배접 하였습니다.

 

 

 

음각으로 파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는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이루는 말로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라는 뜻이다.

유식(唯識)에서는 일수사견이라는 비유를 든다.

우리는 행복과 불행은 상황에 따라 또는 환경에 따라 온다고 생각하는데 매우 큰 착각이다.

행복과 불행은 마음에서 지어내는 것. 그 누구도 날 행복하게 할 수 없고 불행하게도 할 수 없다.

 

법륜스님의 말을 예로 들면, 달을 보고 슬픈 감정을 느꼈다고 가정하자.

그럼 달이 나에게 슬픔을 준 것일까? 아니면 자기 스스로 슬픈 것일까?

 

누가 나에게 욕을 하든 내마음만 바로선다면 어떤 곳에서든 행복할 수도 불행할 수도있다.

같은 것을 동시에 바라보는 데에도 보는 이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은

사람들은 물을 보면, 누구나 마신다든지, 발을 담그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지옥의 중생들은 물을 피고름으로 본단다.

물고기는 그냥 사는 집일 따름이다.

즉 물이라는 객관적 형태를 보는 입장에 따라서는 천차만별로 볼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낙엽 지는 호숫가에서 첫사랑을 속삭였던 이는 물만 보면 다정하고 아름다운 감정이 솟구친다.

즉 물에 대한 객관적이고 교과서적인 해석은 존재할 수 없다.

물은 결국 우리들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만약 지금 견딜 수 없는 고통과 미움에 시달리는 이가 있다면, 옛 기억을 떠올려 보자. 죽을 것만 같았던 그 고통의 시간들이 지금 와서 생각하면 모두 부질없는 번뇌망상이다.

 

 

마찬가지의 논리로 지금의 현실도 언젠가는 추억이 될 따름이다.

문제는 고통이 아니라, 그 고통을 어떻게 받아 들이느냐 하는 상념의 차이다.

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도 마찬가지이다. 신문 사회면으로만 본다면 이 세상은 저주와 불행으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아름다운 면으로 보면, 여전히 세상은 따스하다. 문제는 어느 쪽에 액센트를 두는가 하는 점이다.

시끄럽고 말 많은 세상을 보면서, 그래도 살만하다고 느끼게 하려면 불교가 바로 서야 한다.

그래서 세상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불교가 되어야 한다.

 

 

우선 삶은 자신의 해석에 달려 있다는 말이다. 모든 사실은 그 해석에 따라서 개인의 진실이 된다. 그 다음은 창조에 대한 의미이다. 개인의 자신이 마음, 믿음에 따라 외부 세계는 형성된다.

 

                                         -위키백과 참조-

 

 

 

 

투명락카 칠하고

 

 

 

검은색 아크릴 물감으로 칠하였습니다.

 

 

 

 

 

'서각과 서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불만백(人生不滿百)......  (0) 2020.04.17
모두 버리고 갈 것을 .......  (0) 2020.04.14
당신은 참 좋은 사람입니다.  (0) 2020.04.08
끽다거  (0) 2020.04.08
광릉요강꽃  (0) 2020.04.01